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개발자로서 협업을 위한 git 사용법 중 repository 생성과 push의 과정까지 필요한 부분들을 포스팅하겠습니다.
1. git 최초 계정등록
먼저 git bash를 실행하여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사용자 등록을 해주어야합니다. 만약 등록하지 않을시 git을 사용하려 해도 등록하라는 문구가 계속 뜰겁니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내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내 email" |
2. Git Bash 사용하여 코드 올리기
*git설치는 생략하겠습니다.
1. 먼저 git bash를 실행하면 프로젝트 혹은 올리고싶은 파일이 있는 폴더까지 이동해야합니다.
-cd: 폴더 이동 명령어
-ls: 현재 위치한 폴더에 있는 파일 목록
2. 이동하였으면 로컬 저장소를 생성해야합니다.
- git init
3. git hub 페이지에서 repository를 새로 생성하여 이름 및 ingrore를 설정하고 생성합니다.
이후 code를 클릭하여 http 주소를 복사합니다.
4. 원격 저장소와 연결을 해주어야합니다.
- git remote add origin [카피한 주소]
- git remote -v : 연결된 원격 저장소 확인
5. master branch에서 main 브랜치로 이동하여 줍니다.
-git branch -M main
6. pull 을 통해 원격 저장소의 마지막 commit과 로컬 저장소의 commit로그의 맨앞으로 가져와 서로의 상태를 맞춰줍니다.
-git pull origin main
7. 수정 추가 등 변경된 내용을 추가합니다.
-git add .
8. add 한 내용에 대해서 commit message와 함께 commit을 만들어 줍니다.
-git commit -m "내용 작성"
9. 최종적으로 원격 저장소에 push 해주면 완료됩니다.
-git psuh -u origin main
*만약 최초 push가 안된다면 readme.md 생성으로 인한 오류입니다. 이럴 경우
git psuh -u origin +main 을 통해 앞에 +가 강제 push를 도와줍니다.
이후 git hub에 만든 원격 저장소(repsitory)에 가보면 최신화 된걸 볼수있습니다!